반응형

예언 182

국운 - 24.말이 늙는 馬老(마노)의 상

12월2일 경자일 병자시 '報恩郡(보은군) 馬老面(마노면) 赤岩里(적암리) 산1-12' 九屛山(구병산) 자락 응기가 발생했고 이어서 어제도 오후에 같은 곳과 인근에서 응기가 발생했다. 787 2024/12/25 19:29:05 1.1 15 Ⅰ 36.46 N 127.87 E 충북 보은군 동남동쪽 13km 지역 마로면 적암리 산1-27 786 2024/12/25 19:21:08 1.1 14 Ⅰ 36.46 N 127.86 E 충북 보은군 동남동쪽 12km 지역 마로면 적암리 산1-12786번 12월25일 계해일 임술시 '報恩郡(보은군) 馬老面(마노면) 赤岩里(적암리) 산1-12' 九屛山(구병산) 자락 응기와 787번 12월25일 계해일 임술시 '報恩郡(보은군) 馬老面(마노면) 赤岩里(적암리) 산1-27' 九屛..

국운 2024.12.26

국운 - 23.응기와 미래

12.3 內亂(내란)은 응기가 그 벌어질 때도 가리켰고 또 먼저 실패할 것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기운의 변화를 읽는 것은 땅의 메세지를 살펴야하고 그것을 응기로 보는 것이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나타난 첫 응기가 苦海(고해)를 가리키니 지금의 운수가 예언한것처럼 그런것이다. 785 2024/12/25 00:40:13 1.2 5 Ⅰ 36.27 N 127.01 E 충남 부여군 동쪽 9km 지역 초촌면 응평리 산13 784 2024/12/24 12:12:18 1.3 12 Ⅱ 36.05 N 127.98 E 경북 김천시 남서쪽 16km 지역 구성면 상거리 산116784번 12월24일 임술일 병오시 '金泉市(김천시) 龜城面(구성면) 上擧里(상거리) 산116' 虎草堂山(호초당산) 자락 응기가 발생했다. 지명유래를 보면..

국운 2024.12.25

국운 - 22.九十家眷摠沒死(구십가권총몰사)와 현실

11월28일 병신일 무자시 '井邑市(정읍시) 笠岩面(입암면) 新綿里(신면리) 422-1' 응기의 지진 세기는 2.5에 이르렀다. 그리고 12월22일 경신일 병술시 '大田市(대전시) 東區(동구) 沙城洞(사성동) 산13-29' 白骨山(백골산) 자락 응기는 지진의 세기가 2.2에 이르렀다. 지진의 세기로 응기의 중요성을 드러냈다. 11월28일 병신일 무자시 '井邑市(정읍시) 笠岩面(입암면) 新綿里(신면리) 422-1' 응기를 주목한 것은 한가지 더 이유가 있다. 그것은 2023년 10월29일(음력9월15일) 경신일에서 423일차가 오늘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 나타난 응기는 12월24일(음력11월24일) 임술일 경자시 '大田市(대전시) 東區(동구) 內塔洞(내탑동) 산9-4' 苦海山(고해산) 자락 응기가 발생..

국운 2024.12.24

국운 - 21.度數(도수)와 미래

12월22일(음력11월22일) 경신일 병술시 '大田市(대전시) 東區(동구) 沙城洞(사성동) 산13-29' 白骨山(백골산) 자락 응기는 인근 苦海山(고해산)과 함께 험난한 미래를 가리킨다고 밝혔다. 그런데 오늘도 그 인근에서 응기가 나타났다. 782 2024/12/24 00:36:35 1.6 16 Ⅰ 36.40 N 127.52 E 대전 동구 북북동쪽 11km 지역 동구 내탑동 산9-4 782번 12월24일(음력11월24일) 임술일 경자시 '大田市(대전시) 東區(동구) 內塔洞(내탑동) 산9-4' 苦海山(고해산) 자락 응기가 발생했다. 白骨山(백골산)에 이어서 苦海山(고해산) 자락 응기가 나타난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운수가 현실로 나타날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사람들의 환상이자 착각이 陰僧女(음승녀)와 震木(..

국운 2024.12.24

국운 - 20.응기가 가리키는 미래

오늘 새벽에 묘한 꿈을 꾸었다. 산으로 오르기 위해서 서에서 동으로는 차를 타고 가다가 내렸고 남에서 북으로 걸어가다가 누군가를 만나서 물었다. "어디 가는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안다고 하며 "하야대"에 간다고 했다. 대는 臺(대)라고 생각했으니 '하야'를 의미할 수도 있다. 현실이 되는지는 세월과 현실이 답할 것이며 꿈의 기록 차원에서 올린다. 그런데 오랫동안 응기를 관찰하면서 언젠가는 여기서 응기가 나타날 수 있겠다고 생각한 곳이 있다. 그런데 어제 나타났다. 776 2024/12/22 19:33:09 2.2 17 Ⅱ 36.39 N 127.52 E 대전 동구 북동쪽 10km 지역 지도 동구 사성동 산13-29 775 2024/12/22 11:47:03 1.5 11 Ⅰ 35.79 N 129.41 E ..

국운 2024.12.23

국운 - 19.應氣(응기)가 가리키는 것

12월17일 을묘일 정축시 '堤川市(제천시) 水山面(수산면) 綾江里(능강리) 산3' 錦繡山(금수산) 자락 응기의 지번을 따라서 3일차가 12월19일 정사일인데 아래 응기가 발생했다. 765 2024/12/19 22:34:36 1.5 13 Ⅰ 34.85 N 127.43 E 전남 순천시 남남서쪽 12km 지역 별양면 두고리 352-1765번 12월19일(음력11월19일) 정사일 신해시 '順天市(순천시) 別良面(별량면) 斗庫里(두고리) 352-1' 응기가 발생했다. 이렇게 虎寺山(호사산)의 지맥 끝에서 응기가 이어지고 있다. 別良面(별량면) 응기는 그동안 이어졌고 7월9일 갑술일 '順天市(순천시) 別良面(별량면) 德亭里(덕정리) 산97-3' 응기에 이어서 90일차 10월6일(음력9월4일) 계묘일 '順天市(순천..

국운 2024.12.22

국운 - 18.다가오는 미래

송하비결에서 '小人(소인)이 권력을 얻는다'인 小人得權(소인득권)은 타나크 '다니엘서'가 밝히는 '끔직한 혐오'가 구축되는 것을 말하며 1290일의 도수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30으로 나누면 43개월이 되며 3년 36개월과 7개월이 되니 3년 반의 세월을 넘고 있다. 이 구간을 정확히 보면 2020년 9월2일(음력7월15일) 무신일에서 1290일차가 2024년 3월14일 정축일(소인)이 권력을 얻는다'인 小人得權(소인득권)은 타나크 '다니엘서'가 밝히는 '끔직한 혐오'가 구축되는 것을 말하며 1290일의 도수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1290일을 30으로 나누면 43개월이 되며 3년 36개월과 7개월이 되니 3년 반의 세월을 넘고 있다. 이 구간을 정확히 보면 2020년 9월2일(음력7월15일)..

국운 2024.12.21

국운 - 17.채워지는 度數(도수)

12월17일(음력11월17일) 을묘일 병술시 '高敞郡(고창군) 古水面(고수면) 禮智里(예지리) 461-22' 응기에서 지번을 보면 '461 + 22 = 483'이 되고 2023년 8월28일(음력7월13일) 무오일에서 483일차가 12월22일(음력11월22일) 경신일이 된다. 그런데 그 기점이 되는 날에는 두개의 응기가 발생했다. 2 2023/08/28 00:17:28 1.3 12 Ⅰ 35.76 N 129.19 E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1km 지역 내남면 부지리 6891 2023/08/27 23:40:54 1.1 6 Ⅰ 35.99 N 128.14 E 경북 김천시 남쪽 17km 지역 조마면 대방리 산57-3이 두 응기중 주목하는 것은 1번 응기로 밤11시가 넘었기 때문에 간지로 보면 8월28일 무오일이 된..

국운 2024.12.20

국운 - 16.응기와 예언서

12월17일(음력11월17일) 을묘일 병술시 '高敞郡(고창군) 古水面(고수면) 禮智里(예지리) 461-22' 응기에 대한 지명유래를 보면 良丁里(양정리), 궁원리(弓院里), 禮洞(예동), 智村(지촌)이 통합되면서 禮智里(예지리)가 되었다고 한다. 이 지명유래를 보면 예절과 지혜를 가리키며 良丁(양정)과 弓院(궁원)의 의미를 이어서 생각하면 기묘한 면이 있다. 이 良丁(양정)의 의미를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양민 신분의 장정'이라고 나온다. 그러니 양민 신분의 장정에게 알리는 메세지이며 활을 써야할 때가 다가온다고 가리키고 있다. 추배도의 그림에도 활을 맨 사람이 자주 등장한다. 이는 동이족의 상징성을 가리키도 하지만 활을 쓸 일이 다가온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추배도 제52상에서 예언하듯이 乾坤(건곤)이..

국운 2024.12.19

국운 - 15.물의 나라

어제 12월17일 을묘일 정축시 '堤川市(제천시) 水山面(수산면) 綾江里(능강리) 산3' 錦繡山(금수산) 자락 응기에 이어서 같은 날 응기가 하나더 발생했다. 763 2024/12/17 19:47:22 1.4 7 Ⅰ 35.42 N 126.65 E 전북 고창군 서남서쪽 5km 지역 고수면 예지리 461-22 763번 12월17일 을묘일 병술시 '高敞郡(고창군) 古水面(고수면) 禮智里(예지리) 461-22' 응기가 발생했다. 남쪽에 九皇山(구황산)은 9대에 걸쳐서 임금이 나오는 명당이 있다고 하여 붙혀진 이름이라고 한다. 鷄龍(계룡)의 운수가 열리는 응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말대가리가 나라를 말아먹고 타판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런 응기가 나타나는 것은 사람이 나올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어제 을묘일에는 비..

국운 2024.12.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