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5일 음력9월3일 임인일 '淸道郡(청도군) 豊角面(풍각면) 花山里(화산리) 917' 응기를 지도와 함께 자세히 보면 琵瑟山 (비슬산) 石劍峰(석검봉) 자락 응기다. 신기한 것은 네이버 지도에서는 이 석검봉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서 그동안 알아보지 못했다. 우연히 검색하다가 다음 지도에는 석검봉이 표시되어 있어서 역시나 싶었다. 왜냐하면 응기들의 간극과 함께 벌어진 현실을 보면 응기에서 부족한 것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세히 찾아보니 역시 그렇다.
위 지형도를 자세히 보면 琵瑟山 (비슬산) 石劍峰(석검봉)에서 남쪽 수복산으로 이어지는 支脈(지맥)의 자락에서 이 응기가 발생했다. 이 응기를 다시 살피게 된것은 이유가 있다. 정확한 때를 가늠하기 위해서 度數(도수)를 살피는 중에 자꾸 지번 917이 걸렸기 때문이다. 2022년 5월10일 계해일은 血流落地(혈류낙지)가 열렸으며 당해 10월29일 을묘일에 '이태원 참사'가 벌어졌다. 결국 들어가지 말아야할 땅에 들어갔기 때문에 이런 운수가 열린 것이다. 그러니 血流落地(혈류낙지)가 열린 2022년 5월10일 계해일을 기준일로 그로부터 917일차가 2024년 11월11일 기묘일었다.
그래서 역시나 싶었다. 그것은 11월11일 음력10월11일 기묘일 을해시 '義城郡(의성군) 點谷面(점곡면) 尹岩里(윤암리) 산49-1' 응기가 발생했고 伊尹(이윤) 도수가 끝난다는 것을 가리켰다.
왜 이 응기가 발생했는지 그 이유와 배경이 명확해야하는데 그것이 붕 뜬 느낌이 있어서 도수를 자세히 살펴보니 역시나 싶었다. 응기가 발생한 곳을 살펴보니 빙 돌아서 黃鶴山(황학산) 자락이다. 이 응기들을 보면 石鷄(석계)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그것을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이미 기운의 흐름이 伊尹(이윤) 도수를 끝장내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난다. 琵瑟山 (비슬산) 은 북쪽 天王峯(천왕봉)을 시작으로 月光峰(월광봉), 大見峰(대견봉), 照華峰(조화봉), 石劍峰(석검봉), 觀機峰(관기봉)으로 이어진다. 이런 지명을 봐도 지금 세상의 흐름을 능히 알수 있다.
이렇게 11월11일 음력10월11일 기묘일에 伊尹(이윤) 도수가 끝난다는 응기가 나타났으니 이틀 뒤에는 白虹貫日(백홍관일)의 상이 나타났다.
11월3일 음력10월3일 신미일 경인시 '金堤市(김제시) 萬頃邑(만경읍) 長山里(장산리) 369'
11월3일 음력10월3일 신미일 임진시 '瑞山市(서산시) 聖淵面(성연면) 日藍里(일람리) 903-25'
이 두 응기의 지번을 보면 길이가 다르다. 특히 日藍里(일람리)로 햇무리를 가리키는 지명유래가 있는 두 번째 응기는 903-25로 지번의 간극이 다르다. 이것은 결국 기점이 다르다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두 번째 지번인 903-25를 보면 血流落地(혈류낙지)가 열린 2022년 5월10일 계해일에서 903일차가 10월28일 음력9월26일 을축일에 닿는다. 그런데 그 날 10월28일 음력9월26일 을축일 정축시 '長興郡(장흥군) 長東面(장동면) 北橋里(북교리) 142' 龍頭山(용두산) 자락 응기가 같은 곳에서 두번 연이어 발생했다.
이 지역에는 龍(용)의 죽음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다. 이 피재는 청룡이 피를 흘리며 넘어간 곳이며 장평면 청용리에서 청용이 죽었다는 설화가 있다. 결국 이것을 보면 靑龍(청룡)의 상징성이 명확하며 갑진년에 벌어질 일을 암시하고 있다. 北橋(북교)는 역시 北學主(북학주)와 西川橋(서천교)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니 청룡과 북학주 그리고 서천교까지 보면 지금의 현실과 기묘하게 겹친다. 하물며 햇무리와 관련된 지명으로 부터 그것을 살핀것이니 더 기묘하다.
2022년 5월10일 계해일에서 903일차가 10월28일 음력9월26일 을축일까지 닿고 나면 지번에서 25를 봐야하고 10월29일 병인일에서 25일차가 11월22일 10월22일 경인일로 신사시에 '醴泉郡(예천군) 甘泉面(감천면) 浦里(포리) 산49' 走馬山(주마산) 자락 응기가 발생했다.
血流落地(혈류낙지)가 열린 날을 기준으로 928일차 11월22일 10월22일 경인일 신사시 '醴泉郡(예천군) 甘泉面(감천면) 浦里(포리) 산49' 走馬山(주마산) 자락 응기가 나타난 것은 그냥 나타난 것이 아니란 것을 알 수 있다. 이 응기의 특징은 北馬起紅塵(북마기홍진)을 가리키며 白虹貫日(백홍관일)이 가리키듯이 胡兵(호병)에 의해서 土倭(토왜)가 제거될 것을 가리키고 있다. 이렇게 도度數(도수)가 정밀하게 나타난 것이며 대충이 아니다.
2024년 10월5일 음력9월3일 임인일 '淸道郡(청도군) 豊角面(풍각면) 花山里(화산리) 917' 琵瑟山 (비슬산) 石劍峰(석검봉) 자락 응기에서 49일차 2024년 11월22일 10월22일 경인일 신사시 '醴泉郡(예천군) 甘泉面(감천면) 浦里(포리) 산49' 走馬山(주마산) 자락 응기가 나타난 것은 하늘이 劍(검)을 겨누고 있다는 것을 복잡한 도수를 사용하여 가리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번인 917과 49가 그냥 나온 숫자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이 2024년 10월5일 음력9월3일 임인일로 부터 55일차에 도달했다. 기운이 바뀌었지만 운수가 현실을 어떻게 바꾸는지 그것을 관찰해야 한다. 운수는 기승전결이 있고 속발할수도 있지만 그런지 아닌지는 현실이 증명하기 때문이다.
'미래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어진 응기 - 10.응기의 무게 (28) | 2024.11.29 |
---|---|
이어진 응기 - 9.용과 뱀 (29) | 2024.11.29 |
이어진 응기 - 7.둑이 터질때 (24) | 2024.11.27 |
이어진 응기 - 6.결정된 업 (27) | 2024.11.27 |
이어진 응기 - 5.전개 (26) | 2024.11.26 |